드로잉과 Edge 작업에 사용하는 종이는 ‘파브리아노 5, 뉴아띠스띠꼬 / 세목 / 300g과 아르쉬’를 많이 사용한다. 10, 25장 낱장 묶음은 선택의 폭이 넓지만 판넬(표준어는 패널이지만 이하 판넬로 하겠음)에 물배접을 위해선 롤을 선택해야 하는데 아르쉬는 폭이 130 또는 113cm로 큰 작업엔 비교적 제한적이다. 그래서 폭 140cm의 파브리아노 뉴아띠스띠꼬 세목을 선호한다. 마스킹 테이프도 흠집 없이 잘 떨어지고 파우더와 밑 작업과 밀도 있는 면 처리도 좋다. 그리고 아르쉬에 비해 저렴하다. 중목 또는 황목은 드로잉에서 많은 여백으로 드러나는 종이의 질감과 표면 요철을 긁고 지나간 연필 선의 힘조절이 우아하게 표현된다. 디지털 작업에서 가져볼 수 없는 물성이다. 

큰 판넬 작업을 위해 ‘캔손 Ca grain 데생용 켄트지 / 224g / 1.5x10m’를 구입해서 사용 중이다. 물배접 과정에서 천으로 종이를 펴면서 물을 바른 반대쪽에 한 두 방울 떨어진 물방울로 종이의 표면에 흠집이 생겼다. 마스킹 테이프에도 예민해 떼는 과정에서 종이가 뜯길 수 있다. 앞면은 매끈하고 뒷면은 약간의 질감이 있는데 수채화지의 표면과는 차이가 크다. 뒷면 모서리에 캔손 브랜드 이름과 로고가 압인 되어있는데 글씨가 바로 보이는 쪽이 뒷면이다. 이 종이로 수채화를 하진 않지만 물감을 바르기엔 뒷면이 더 좋아 보인다.(아직 해보진 않았다)
보통 롤페이퍼는 말린 안쪽이 앞면이고 바깥으로 드러난 쪽이 뒷면인데 물배접할 때 뒷면에 물을 바르고 뒤집어서 판넬에 펴서 타카로 마무리하는데 캔손은 압인이 반대로 되어 앞면에선 보면 글씨가 뒤집어져서 보인다. 장점은 시각적으로 방해가 덜된다는 것과 그 위에 연필 선을 덮어도 괜찮아 보인다(그 위에 그려보진 않았다). 
아무튼 이 종이를 더 사용하진 않을 것 같다. 

연필 작업에서 넓적하고 굵은 선, 생기 있는 선을 표현하는 비교적 밀도가 적은 작업엔 중목을 사용하는데, Edge 작업에선 대부분 핫 프레스로 표면을 곱게 처리한 세목을 주로 사용한다. 참고로 중목은 콜드 프레스 과정을 거친다고 한다. 

아래는 내 작업에 맞는 종이를 정리한 것. 

Arches AquarelleCotton 100%수채화중목
Arches Lavis Fidelis / En-Tout-CasCotton 25%연필 / 펜 / 잉크
Arches Huile100%오일중목
Fabriano ArtisticoCotton 100%수채화 / 연필세목
Fabriano FtturaAlpha Cellulose  100%아크릴 / 오일
Fabriano Fabriano 5Cotton 50%연필 / 목탄 / 콘테 / 잉크 / 펜세목
Share the Post: